1925년 발표된 단편으로 바다에 기대어 살아가는 성팔과 그 처의 이야기이다.
성팔의 처는 뱃일 하러 떠나는 남편에게 요깃거리와 부적을 하나 준다.
성팔은 그 주머니를 눈앞에다가 높직이 들고 쳐다보다가,
“내게 부적이 무슨 소용이 있어야지!”라 말하고는,
흰 이빨을 내놓고 다시 히히 웃었다.
그렇게 성팔이는 처와 아들 점동이의 마중을 받으며 바다로 나간다.
그게 성팔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이익상
호는 성해(星海), 전라북도 전주 출신으로 1925년 전후 4-5년 정도
짧은 기간 동안 작품 활동을 하였다.동아일보 학예부장을 거쳐 매일신보 편집국장을 지냈다.
1923년 「백조」동인이었던 김기진, 박영희 등과 파스큘라(PASKYULA)라는
문학단체를 만들었으며, 신경향파문학의 중심인물이었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잡기 「생장」,「조선문단」,「개벽」등에 발표되었는데,
대표작으로는 「어촌」,「흙의 세례」,「젊은 교사」,「짓밟힌 진주」,
「광란」,「길 잃는 범선」등이 있다.
1933년 「만주기행」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의 침략정책과 만주국 건설의 정당화를 찬양하는
글을 21회에 걸쳐 매일신보에 연재하는 등 신민통치에 협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