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0 0 3 7 0 6년전 0

어린이의 예어

다시읽는 한국문학 추천도서111

광필은 하숙집 주인 김 주사에게 방을 비워달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지 않아도 식비도 밀려 있어 걱정이었다. 별수 없이 김 주사 말한 대로 다른 방으로 옮겼는데 볕도 들지 않는 북향의 굴 같은 방이었다. 광필은 이대로 학업을 중단하고 고향에 내려가느니 동경에서 일을 하며 학업을 계속 할까 하는 생각으로 선배를 찾아간다.
광필은 하숙집 주인 김 주사에게 방을 비워달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지 않아도 식비도 밀려 있어 걱정이었다.
별수 없이 김 주사 말한 대로 다른 방으로 옮겼는데
볕도 들지 않는 북향의 굴 같은 방이었다.
광필은 이대로 학업을 중단하고 고향에 내려가느니
동경에서 일을 하며 학업을 계속 할까 하는 생각으로
선배를 찾아간다.
이익상

호는 성해(星海), 전라북도 전주 출신으로 1925년 전후 4-5년 정도
짧은 기간 동안 작품 활동을 하였다.동아일보 학예부장을 거쳐 매일신보 편집국장을 지냈다.
1923년 「백조」동인이었던 김기진, 박영희 등과 파스큘라(PASKYULA)라는
문학단체를 만들었으며, 신경향파문학의 중심인물이었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잡기 「생장」,「조선문단」,「개벽」등에 발표되었는데,
대표작으로는 「어촌」,「흙의 세례」,「젊은 교사」,「짓밟힌 진주」,
「광란」,「길 잃는 범선」등이 있다.
1933년 「만주기행」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의 침략정책과 만주국 건설의 정당화를 찬양하는
글을 21회에 걸쳐 매일신보에 연재하는 등 신민통치에 협력하였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