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 0 0 1 7 0 6년전 0

생명

다시읽는 한국문학 추천도서100

서방님은 아씨와 공방이 들었었다. 그는 열여섯에 장가를 들었는데, 아씨는 네 살 맏이인 스무 살이었었고 오월이는 그때 열두 살에 아씨의 몸종으로 따라왔었다. 처음 서방님과 아씨는 금실이 퍽 좋았었다. 혼인한지 사 년 되던 해에 딴살림을 나앉았다. 그해 늦은가을에 아씨는 왜목불알이 대롱대롱하는 아들을 낳았다. 그러나 그때부터 서방님은 드는 칼로 벤 듯이 싹 돌아앉아 버렸다.
서방님은 아씨와 공방이 들었었다.
그는 열여섯에 장가를 들었는데, 아씨는 네 살 맏이인 스무 살이었었고 오월이는 그때 열두 살에 아씨의 몸종으로 따라왔었다.
처음 서방님과 아씨는 금실이 퍽 좋았었다.
혼인한지 사 년 되던 해에 딴살림을 나앉았다. 그해 늦은가을에 아씨는 왜목불알이 대롱대롱하는 아들을 낳았다.
그러나 그때부터 서방님은 드는 칼로 벤 듯이 싹 돌아앉아 버렸다.
채만식

1902년 전북 옥구 출신으로 중앙고보를 거쳐 일본 와세다대학 예과에서 수학하였다.
사립학교 교원과 신문기자로 근무하다가 퇴사하고 향리에 머무르기도 하였다.
1924년 조선문단에 발표한 「세 길로」로 문단에 등단하였다.
잡지 편집과 기자로 일하다가 1936년 작가로 전업하였다.
초기작으로는 단편 「불효자식」.중편 「과도기」가 있으며,
그 밖에 「가죽버선」,「낙일」,「사라지는 그림자」,「부촌」등으로 이 시기는 작가로서의 입문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33년 조선일보에 연재한 장편 「인형의 집을 찾아서」부터 본격적인 창작활동이라고 하겠다.
이듬해 발표한 「레디메이드 인생」으로 작가로서의 면모를 획득하게 되었다.
채만식은 작가로서의 결실과 함께 친일부역작가라는 오명을 씻을 수 없게 되는데
그러한 행적은 1948년 발표한「민족의 죄인」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대표작으로는 「치숙」,「탁류」,「태평천하」등이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